티스토리 뷰
1. MC_MoveAbsolute
절대적인 위치를 이동.
이동 명령을 내린뒤, 축 이동을 모니터링 하여 완료 신호를 내림. (Feedback 체크)
https://infosys.beckhoff.com/english.php?content=../content/1033/tcplclibmc2/458411147.html&id=
2. MC_MoveAdditive
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거리를 이동.
도달 여부에 상관 없이, 위치 명령을 내리고, 체크는 하지않음. (Feedback 신호 체크 안함.)
* BufferMode
버퍼모드로 축이 다른 동작을 하고 있을때 명령이 끊기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을 해 지속적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지원.
https://infosys.beckhoff.com/english.php?content=../content/1033/tcplclibmc2/458454795.html&id=
3. MC_MoveRelative
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거리를 이동.
이동 명령을 내린뒤, 축 이동을 모니터링 하여 완료 신호를 내림. (Feedback 체크)
https://infosys.beckhoff.com/english.php?content=../content/1033/tcplclibmc2/458412683.html&id=
5. MC_MoveContinuous 함수
MC_Move 함수와 동일하며, 마지막 목표 위치에 도달시 EndVelocity가 있어 감속.
6. MC_MoveModulo
다 축 커플링의 동작이 필요 할 경우 사용
목표 위치 도달에 방법이 세가지로 분류됨
▪ Positioning in positive direction
▪ Positioning in negative direction
▪ Positioning along shortest path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PDO
- EtherCat
- gram 16
- Analog Input Range
- profinet
- st
- S7+
- SDO
- daq
- profibus
- Wadiz
- 프로피버스
- 버즈+
- motion
- Device Scan
- 후기
- TwinCAT ADS
- 멜로이
- 태블릭
- TwinCAT3
- 버즈 플러스
- Scaling coefficients
- NI
- 프로피넷
- 16zd90p
- CoESdoRead
- LabView
- 트윈캣
- TwinCAT
- ad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