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1. LabVIEW를 실행 후, 오토메이션 열기 함수를 놓는다. 2. 오토메이션 상수를 우클릭 후, 탐색 버튼을 누른다. 3. 다시 한번 탐색버튼을 누른뒤, OCX파일의 경로를 설정해준다. https://nadosizak.tistory.com/13 참고. 4. AdsOcx를 설정한 뒤 확인. 5. 프로퍼티 노드를 불러와서 ServerNetId는 (1) 확인한 Net ID이고 ServerPort는 Drive Port ( port: 851 or 27905로 )는를 각각 입력. * 851 : 기본 port ( 그냥 읽혀짐.... ) * 27905 : ADS 활성화 port * port에 따라 IGroup과 Ioffset이 달라지므로 참고 6. 다음 인보크 노드를 가져와서 AdsSyncRead****Req 함수..

TwinCAT ADS를 사용하려면 먼저 NetID와 Port를 확인해야한다. NetID의 경우 작업표시줄에 있는 TwinCAT 트레이 아이콘을 우클릭하여 About TwinCAT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. Port는 TwinCAT에서 필요한 기능에 따라 값이 변하게 된다. ( Motion, PLC, I/O마다 각각 port 존재 ) Drive -> Image -> ADS탭에서 ADS Server와 Create symbol을 활성화 한다. (ADS 통신 활성화) 그리고 Port 값을 기억한다. 그 다음은 Index Group과 Offset인데, TwinCAT에서 연결된 EtherCAT 디바이스를 보면 활성화된 PDO 매핑을 확인할 수 있다. 활성화된 PDO 매핑을 선택하면 'ADS Info'에서 정보를 확인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gram 16
- ads
- 프로피넷
- 후기
- 프로피버스
- 16zd90p
- TwinCAT3
- PDO
- Wadiz
- 태블릭
- 버즈 플러스
- SDO
- 트윈캣
- profibus
- Scaling coefficients
- LabView
- Device Scan
- S7+
- Analog Input Range
- NI
- profinet
- 버즈+
- CoESdoRead
- TwinCAT
- motion
- daq
- TwinCAT ADS
- st
- EtherCat
- 멜로이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