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반응형
Start Trigger
- AI/AO에 사용
- DAQ FIFO - PC Buffer를 통해 LabVIEW 메모리로 전송
- 트리거 이전의 데이터는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덮어씌우고 있다가 트리거 발생시 데이터를 전달.
Arm Start Trigger
- DI/DO에 사용
- FIFO/Buffer 사용하지 않음
- 내부 디지타이저의 트리거 회로 활성화로 적절한 조건이 충족되면 데이터 수집 시작(Start Trigger와의 차이점.)
- 카운팅 시작 시점을 알려주지만 PC메모리에 값이 전달되는 시기는 알 수 없음.
참고 링크
https://blog.naver.com/asax1015/220974249488
랩뷰(LabVIEW) 공부 001 - 암 스타트 트리거(Arm start trigger)
랩뷰(LabVIEW) 공부하기 001 - 암 스타트 트리거(Arm start trigger) *개인적으로 랩뷰를 알아가기 ...
blog.naver.com
반응형
'LabVIEW > DAQ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nalog Input 측정 최소 단위 계산하는 법 & 실제 계산 방법 (0) | 2020.09.24 |
---|---|
(Bug) 가상 디바이스로 Loop Timing 에러 (0) | 2020.09.24 |
[HW] 다기능 DAQ보드 Product Family 소개[출처] [HW] 다기능 DAQ보드 Product Family 소개 (0) | 2019.12.02 |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태블릭
- NI
- st
- Wadiz
- 후기
- PDO
- 프로피넷
- daq
- profinet
- TwinCAT3
- ads
- Scaling coefficients
- 멜로이
- Analog Input Range
- EtherCat
- CoESdoRead
- gram 16
- LabView
- TwinCAT
- Device Scan
- 프로피버스
- SDO
- TwinCAT ADS
- 트윈캣
- S7+
- 버즈 플러스
- motion
- 버즈+
- 16zd90p
- profibu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